직업(상담)에 관하여

행동주의 상담 이론에 대해

freeyoo 2025. 3. 18. 13:32
728x90
SMALL

행동주의 상담 관련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건 바로 종소리가 칠 때 침 흘리는 개와 관련된 내용이다. 이는 고전적 조건 형성 이론으로서 파블로프가 내놓은 이론이다. 그 외에도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형성 이론이 있는데 긍정적 강화와 부정적 강화에 대한 내용이다. 여기서 더 발전된 이론은 사회핛브 이론으로서 타인을 관찰할 뿐 아니라, 모방하는 것을 통해 학습된다고 보고 있다.

흔히 볼 수 있는 사례들
조작적 조건형성 이론의 긍정적 강화 및 부정적 강화는 우리 주위에서도 쉽게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험 점수를 잘 받으면 이에 대한 용돈이나 선물을 주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추후 시험에서도 아이는 이러한 보상을 받기 위해 더 열심히 공부하게 될 것이다.
반대로 부정적 강화는 잘못된 행동을 했을 경우 처벌을 내리는 것이다. 거짓말을 하거나 올바르지 못할 행동을 했을 때에는 이에 대한 채벌을 주는 것이다. 이를 통해, 다음부터는 잘못된 행동을 하지 못하게 미연에 방지한다고 볼 수 있다.

중독에서 흔히 보는 고전적 조건 형성 이론
술을 마셨을 때 취하는 느낌, 그리고 담배를 피웠을 때 싸하고 멍해지는 기분, 도박에서 금전을 땄을 때의 일시적인 쾌감 등은 대부분 어떠한 보상을 맛보았을 때 다시 이러한 경험을 하기 위해 유사한 행동을 할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개인적으로 본다면 힘들이지 않고 쉽사리 쾌락을 추구하기에 음주나 흡연, 도박 등에 쉽게 빠진다고 본다. 그에 반해 시험의 합격이나 경기에서의 우승은 이겼을 때의 성취감은 그 어느 것보다 높으나,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큰 노력이 수반되기에 상대적으로 전자보다 접근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행동주의 상담의 기법으로는
체계적 둔감화, 강화 기법과 행동 조성 등 여러 기법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체계적 둔감화의 경우 개인적으로 지닌 불안감 등을 서서히 줄여 나갈 수 있기에 일이나 일상생활에서도 활용도가 상당히 높은 편이다.
우리 주위에서도 쉽게 접할 수 있는 행동주의 상담과 관련된 이론 및 기법에 대해 조금이라도 학습한다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지 않을까 본다. 

 

728x90
LIST